이번 글에서는 국내 은행을 대표하는 종목으로 구성된 KRX은행 지수를 추적하는 KODEX 은행 주가 배당금 분배금 수익률 구성종목 등 다양한 정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KODEX 은행 상품정보
2. KODEX 은행 구성종목
3. KODEX 은행 주가
4. KODEX 은행 배당금
5. ETF란?
1. KODEX 은행 상품정보
KODEX 은행 ETF는 한국 경제를 든든하게 이끌어가고 있는 국내 은행을 대표하는 종목들로 구성된 상품입니다.
운용사 | 삼성자산운용 |
상장일 | 2006.06.27 |
총보수 | 0.30% |
2. KODEX 은행 구성종목
No. | 종목명 | 비중(%) (24.12.11 기준) |
1 | KB금융 | 19.56 |
2 | 신한지주 | 18.81 |
3 | 하나금융지주 | 18.26 |
4 | 우리금융지주 | 15.50 |
5 | 카카오뱅크 | 11.64 |
6 | 기업은행 | 5.75 |
7 | JB금융지주 | 4.30 |
8 | BNK금융지주 | 4.23 |
9 | DGB금융지주 | 1.87 |
3. KODEX 은행 주가
기간 | 수익률(%) (12.12.10 기준) |
1개월 | -5.60 |
3개월 | -0.67 |
6개월 | 7.85 |
1년 | 38.07 |
3년 | 31.92 |
5년 | 55.79 |
연초이후 | 31.01 |
상장이후 | 47.30 |
4. KODEX 은행 배당금
지급기준일 | 실제기준일 | 배당금 |
24.11.29 | 24.12.03 | 30 |
24.1031 | 24.11.04 | 30 |
24.09.30 | 24.10.04 | 30 |
24.08.30 | 24.09.03 | 30 |
24.07.31 | 24.08.02 | 30 |
24.04.30 | 24.05.03 | 350 |
5. ETF란?
ETF는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매매할 수 있는 펀드입니다. ETF는 주식, 채권, 원자재 등 다양한 기초 자산을 추종하며, 특정 지수나 산업군, 테마 등을 따라가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ETF는 분산투자 효과와 낮은 거래 비용을 통해 소액 투자자에게 효율적인 투자 수단을 제공하는 투자 수단입니다.
ETF의 주요 장점은 유동성과 투명성입니다.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기 때문에 거래 시간 동안 실시간으로 매매가 가능하며, 펀드가 추종하는 기초 자산의 구성과 가격 변동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ETF는 기존의 전통적인 펀드보다 낮은 운용 수수료를 제공하며, 소액으로도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ETF는 개인 투자자뿐만 아니라 기관 투자자에게도 유용한 투자 도구로 활용됩니다. 장기적으로 자산을 축적하려는 투자자들에게는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단기적으로는 시장 변동성을 활용해 수익을 추구하는 트레이딩 수단으로도 사용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ETF는 현대 금융 시장에서 중요한 투자 상품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GER 헬스케어 주가 배당금 분배금 배당 (2) | 2024.12.13 |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주가 배당금 분배금 수익률 구성종목 (1) | 2024.12.12 |
RISE 미국나스닥100 주가 배당금 분배금 수익률 구성종목 (1) | 2024.12.11 |
TIGER 2차전지TOP10 주가 배당금 분배금 수익률 구성종목 (2) | 2024.12.11 |
ACE 미국나스닥100 주가 배당금 분배금 수익률 구성종목 (1) | 2024.12.10 |